티스토리 뷰
파이썬에서 특정 문자/문자열의 위치를 찾는 index()와 find()의 개념 및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 index()의 개념
- find()의 개념
- index() vs find()
index()의 개념
array.index("찾을 값", start, stop)
index() 함수의 모양은 위와 같으며, 찾고자 하는 값의 인덱스 위치를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찾는 문자가 존재한다면, 해당 위치의 index를 반환한다.
만약 찾는 문자가 여러 개 있다면 맨 처음 찾은 문자의 index를 반환한다.
사용 예시 1
- array.index(x): array에서 x의 인덱스 반환
a = [11,10,12,13,20,31,11,10,10,11]
print(a.index(10)) # 1
- array.index(x, start): array[start:]에서 x의 인덱스 반환
a = [11,10,12,13,20,31,11,10,10,11]
print(a.index(10,2)) # 7
- array.index(x, start, end): array[start:end]에서 x의 인덱스 반환
a = [11,10,12,13,20,31,11,10,10,11]
print(a.index(10,2,6))
array[2:6] 에 10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ValueError가 난다.
즉, index는 찾는 문자가 없을 경우 오류가 난다!
사용 예시 2 - iterable 자료형 사용 가능
index()는 iterable한 형태의 자료형에서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리스트, 튜플, 문자열에서 다 사용가능하다.
#리스트
l = [1,2,3,4,5]
print(l.index(5)) #4
#튜플
t = (10,20,30,40)
print(t.index(10)) #0
#문자열
s = 'hello'
print(s.index('l')) #2
find()의 개념
string.find("찾을 값", start, stop)
find() 함수의 모양은 위와 같으며, 찾고자 하는 의 인덱스 위치를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찾는 문자가 존재한다면, 해당 위치의 index를 반환해주고
찾는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한다.
만약 찾는 문자나 문자열이 여러 개 있다면 맨 처음 찾은 문자의 index를 반환한다.
사용 예시 1
- string.find(x): array에서 x의 인덱스 반환
str = "Hello Nice weather"
# 문자 있는 경우
print(str.find('e')) # 1
print(str.find('Nice')) # 6
# 문자 없는 경우
print(str.find('z')) # -1
print(str.find('Life')) # -1
- string.find(x, start): array[start:]에서 x의 인덱스 반환
str = "Hello Nice weather"
print(str.find('e',6)) # 9
- string.find(x, start, end): array[start:end]에서 x의 인덱스 반환
str = "Hello Nice weather"
print(str.find('e',6,10)) # 9
index() vs find()
index() | find() |
mehod.index(찾을 문자, start, end) | mehod.find(찾을 문자, start, end) |
list, tuple, string 객체의 메서드로 사용가능 start부터 탐색 후 처음 발견된 위치를 반환 찾는 문자가 없을 경우 오류 발생 |
string 객체의 메서드로 사용가능 start부터 탐색 후 처음 발견된 위치를 반환 찾는 문자가 없을 경우 -1 반환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unicodeescape' codec can't decode bytes in position 2-3: truncated \UXXXXXXXX escape 오류 해결 방법 (0) | 2024.07.01 |
---|---|
[Python 파이썬] print() 문의 옵션(sep, end, format, escape) (0) | 2024.05.24 |
[Python 파이썬] 집합 자료형 set의 특징과 수학적 연산 (0) | 2024.05.22 |
[Python 파이썬] range() 함수: 일정 범위의 연속된 정수 생성 (0) | 2024.05.22 |
[Python 파이썬] 예외처리: try, except, else, finally (0) | 2024.05.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
- 강의노트 정리
- baekjoon
- 경사하강법
- adrew ng 머신러닝 강의
- 앤드류응
- computation graph
- Sort
- omp: error #15
- 백준
- policy function
- numpy 배열 생성
- 파이썬
- sorted
- python
- 손실함수
- **kwargs
- action value function
- 딥러닝
- NumPy
- *
- *args
- numpy 배열 속성
- 로지스틱 회귀
- Andrew Ng
- 11870
- 강화학습
- 비용함수
- 숏코딩
- state value funct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