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p 함수란?여러 개의 iterable(리스트, 튜플 등)을 받아서 같은 위치에 있는 요소들끼리 묶어주는 함수이다. 예시를 보면 더 이해가 될 것이다. a = [1, 2, 3]b = ['a', 'b', 'c']zipped = list(zip(a, b))print(zipped)출력:[(1, 'a'), (2, 'b'), (3, 'c')] 쉽죠? 같은 위치에 있는 요소들이 묶어지는 것이다.그럼 이걸 활용하면 쉽게 전치 행렬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를 보며 이해해보자.matrix = [ [1, 2, 3], [4, 5, 6]] 위와 같은 행렬이 있다고 해보자. 우린 이걸 zip을 이용하여 전치 행렬을 만들어볼 것이다.transposed = list(zip(*matrix))print(trans..
reduce() 함수는 리스트나 튜플 등 여러 값들을 하나로 줄일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예를 들어, 리스트 안의 숫자를 모두 더하거나, 곱하거나,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다. reduce()는 functools 모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먼저 import 해야 하는 것이 중요!!! 기본 문법from functools import reduce reduce(함수, 반복가능한_데이터) 함수: 두 개의 값을 받아서 누적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반복가능한_데이터: 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예시 1from functools import reduce nums = [1, 2, 3, 4, 5] result = reduce(lambda x, y: x + y, nums) print(result) # 출력: 15 - 작동 순서..

파이썬에서 리스트나 문자열 등 여러 데이터 안에 항목이 몇 개씩 있는지 세고 싶을 때,직접 for문 돌리며 세기보다 훨씬 간단하고 빠르게 쓸 수 있는 게 바로 Counter이다. 파이썬의 collections 모듈에 포함된 Counter 클래스를 사용하면, 데이터 내 항목들의 개수를 자동으로 세어 딕셔너리 형태로 보여준다. Counter()의 개념Counter("데이터") 데이터에는 string, list, tuple 등 iterable한 자료형을 넣을 수 있다.그럼 dictionary처럼 생긴 Counter 객체로 반환된다. 사용 예시 1 - iterable 자료형 - String(문자열)에서 문자 개수 세기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text = "hello world"..

문제: 수직선 위에 N개의 좌표 X1, X2, ..., XN이 있다. 이 좌표에 좌표 압축을 적용하려고 한다.Xi를 좌표 압축한 결과 X'i의 값은 Xi > Xj를 만족하는 서로 다른 좌표 Xj의 개수와 같아야 한다.X1, X2, ..., XN에 좌표 압축을 적용한 결과 X'1, X'2, ..., X'N를 출력해보자. 입출력 규칙1. 입력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둘째 줄에는 공백 한 칸으로 구분된 X1, X2, ..., XN이 주어진다.2. 출력 첫째 줄에 X'1, X'2, ..., X'N을 공백 한 칸으로 구분해서 출력한다. 문제 풀이 - 입력받은 리스트의 중복을 제거한 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리스트를 만든다 (x_list_sort)- 그리고, 숫자 순위 매핑하는 딕셔너리를 만든다. 각 숫자에..

문제: 2차원 평면 위의 점 N개가 주어진다. 좌표를 y좌표가 증가하는 순으로, y좌표가 같으면 x좌표가 증가하는 순서로 정렬한 다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출력 규칙1. 입력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 (-100,000 ≤ xi, yi ≤ 100,000)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 2.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점을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문제 풀이 sorted() 함수와 lambda를 사용하였다.import sysn = int(input())n_list = []for _ in range(n): n_list.append(list(map(int,..

파이썬 정렬함수파이썬 정렬함수들은 기본적으로 정수형이면 크기순, 문자형이면 사전순으로 정렬한다. 1. sort().sort(key=, reverse=) sort()의 매개변수인 key, reverse 값을 정의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reverse=False 오름차순 정렬이다.sort() 함수는 기존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반환한다. 다음은 정수형을 오름차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이다. key 값을 이용하면 특정 조건(절댓값)을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num_list = [-2,0,4,10,-7]num_list.sort() # 오름차순 정렬print(num_list) #[-7, -2, 0, 4, 10]num_list = [-2,0,4,10,-7]num_list.sort(reverse=True) ..

문제: 666은 종말을 나타내는 수라고 한다. 따라서, 많은 블록버스터 영화에서는 666이 들어간 제목을 많이 사용한다. 영화감독 숌은 세상의 종말 이라는 시리즈 영화의 감독이다. 조지 루카스는 스타워즈를 만들 때, 스타워즈 1, 스타워즈 2, 스타워즈 3, 스타워즈 4, 스타워즈 5, 스타워즈 6과 같이 이름을 지었고, 피터 잭슨은 반지의 제왕을 만들 때, 반지의 제왕 1, 반지의 제왕 2, 반지의 제왕 3과 같이 영화 제목을 지었다. 하지만 숌은 자신이 조지 루카스와 피터 잭슨을 뛰어넘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영화 제목을 좀 다르게 만들기로 했다.종말의 수란 어떤 수에 6이 적어도 3개 이상 연속으로 들어가는 수를 말한다. 제일 작은 종말의 수는 666이고, 그 다음으로 큰 수는 1666, 266..

문제: 지민이는 자신의 저택에서 MN개의 단위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는 M×N 크기의 보드를 찾았다. 어떤 정사각형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고, 나머지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지민이는 이 보드를 잘라서 8×8 크기의 체스판으로 만들려고 한다.체스판은 검은색과 흰색이 번갈아서 칠해져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각 칸이 검은색과 흰색 중 하나로 색칠되어 있고,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각형은 다른 색으로 칠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정의를 따르면 체스판을 색칠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맨 왼쪽 위 칸이 흰색인 경우, 하나는 검은색인 경우이다.보드가 체스판처럼 칠해져 있다는 보장이 없어서, 지민이는 8×8 크기의 체스판으로 잘라낸 후에 몇 개의 정사각형을 다시 칠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당연히 8*..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이터 얼마나 수집
- 경사하강법
- ai 사용 이유
- ai 필요?
- 딥러닝
- ai 중요한 이유
- sorted
- *args
- 백준
- 데이터 충분?
- ai 필요성
- Andrew Ng
- NumPy
- action value function
- 앤드류응
- 강의노트 정리
- 비용함수
- **
- **kwargs
- ai란?
- *
- 파이썬
- counter()
- baekjoon
- 강화학습
- Sort
- 손실함수
- python
- 로지스틱 회귀
- 숏코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